AWS 101

재부팅 없이 볼륨 사이즈 변경

1> AWS CLI 를 통해 볼륨 사이즈 변경 2> 인스턴스 내 마운트 정보 변경 $ df -h # 볼륨 정보 확인 $ lsblk # 마운트 정보 확인 # 마운트 정보 변경 및 인스턴스 내 파일시스템 반영 $ sudo growpart /dev/xvda 1 $ sudo resize2fs /dev/xvda1 $ df -h # 볼륨 정보 확인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recognize-expanded-volume-linux.html 볼륨 크기 조정 후 Linux 파일 시스템 확장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다음 예제는 ext4 파일 시스템에 부팅 볼륨을, XFS 파일 시스템에 추가 볼륨을 가지고 있는 T..

AWS 2019.12.09

CloudFront 의 FrontEnd 적용 (SSL)

1. Route 53 의 CNAME 과 CloudFront 의 Distribution Settings 에서 동일하게 도메인 적용. Alternate Domain Names (CNAMEs) 2. Default Root Object 에서 index.html 로 적용. ( S3 웹호스팅 시에도 인덱스와 오류 주소를 index.html 로 고정) 3. SSL 등록시에는 버지니아 리전에 해당 SSL 도메인 생성후, CloudFront 의 Distribution Settings - SSL Certificate 변경 https://walkinpcm.blogspot.com/2017/06/aws-aws-s3-static-website-hosting.html [AWS] AWS S3를 이용한 static website ho..

AWS 2019.12.03

S3 사이즈 확인

https://118k.tistory.com/388 [aws][s3] s3의 용량 확인하기 AWS 커맨드를 이용하여 S3의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ummarize 옵션을 이용하면 최종적으로 s3 경로상의 오브젝트 개수와 총 사이즈를 알려준다. aws s3 ls s3://[버켓]/.. 118k.tistory.com https://118k.tistory.com/281 [스크랩] aws s3 커맨드로 버켓의 용량 확인하기 aws s3 커맨드에는 자체적으로 용량을 확인하는 커맨드가 없기 때문에 ls 명령을 이용하여 내부 객체의 목록을 확인하고 객체의 용량을 더해서 용량을 구해야 한다. aws s3 ls --recursive | grep -v -E.. 118k.tistory.com aws s3 l..

AWS 2019.11.14